맨위로가기

셀림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셀림 2세는 오스만 제국의 10번째 술탄으로, 쉴레이만 1세와 휴렘 술탄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1566년 왕위에 올랐으며, 재상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의 도움을 받아 주변 제국들과 평화 조약을 맺고 인도네시아 바다 정복을 시도했다. 셀림 2세는 직접 친정을 하기보다는 톱카프 궁전과 에디르네의 사냥터에서 주로 시간을 보냈으며, 통치 기간 동안 아야 소피아를 보수하고, 셀리미예 모스크를 건설하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다. 또한,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운하 건설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레판토 해전에서 해군이 패배하는 등 군사적 손실도 겪었다. 셀림 2세는 1574년 목욕탕에서 사고로 사망했으며, 그의 뒤를 이어 아들 무라트 3세가 술탄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4년 출생 - 덕양군
    조선 중종의 서자이자 숙의 이씨 소생인 덕양군은 9세에 덕양군으로 봉해진 후 종부시 도제조 등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사후 선조의 애도로 국가 주관 장례를 치르고 정희라는 시호를 받았다.
  • 1524년 출생 - 피에르 드 롱사르
    피에르 드 롱사르는 16세기 프랑스의 시인이자 플레야드 시단의 중심 인물로서, 송시, 사랑시, 프랑시아드 등의 다양한 작품을 통해 프랑스 시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했으며 왕실의 후원을 받았지만 위그노와의 갈등 속에서 풍자시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나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재조명되었다.
  • 1574년 사망 - 사토미 요시타카
    사토미 요시타카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부친의 사망 후 가독을 상속받아 호조 가문과 대립하며 간토 지방에서 세력을 확장하다가 아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퇴 후 사망했다.
  • 1574년 사망 - 오다 노부히로
    오다 노부히로는 오다 노부히데의 장남이었으나 가독을 잇지 못하고, 아즈키자카 전투에서 패배, 안쇼 성에서 포로로 잡혔다가 풀려난 후 오다 노부나가에게 충성을 맹세하여 가신이 되었으며, 나가시마 잇코잇키 진압에 참여하여 전사했다.
  • 오스만 제국의 군주 - 메흐메트 2세
    메흐메트 2세는 1432년에 태어나 1451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되어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을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1481년에 사망했다.
  • 오스만 제국의 군주 - 무라트 1세
    무라트 1세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서 발칸 반도 정복, 영토 확장, 예니체리 군단 창설 등 제국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코소보 전투 직후 암살당했다.
셀림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셀림 2세의 초상, 1570년경
셀림 2세의 초상, 1570년경
칭호오스만 칼리파
아미르 알무미닌
두 성지의 수호자
전체 이름셀림 샤 빈 쉴레이만 샤 한
별칭사르 셀림 (Sarı Selim, 금발의 셀림)
사르호슈 셀림 (Sarhoş Selim, 술취한 셀림)
출생일1524년 5월 28일
출생지구 궁전, 콘스탄티노플, 오스만 제국
사망일1574년 12월 15일
사망지톱카프 궁전, 콘스탄티노플, 오스만 제국
매장지아야 소피아, 이스탄불
종교수니 이슬람
통치
즉위오스만 제국 술탄 (파디샤)
재위 기간1566년 9월 7일 – 1574년 12월 15일
대관식1566년 9월 29일
대관식 종류검 착용식
이전 통치자쉴레이만 1세
다음 통치자무라트 3세
가족
배우자누르바누 술탄 (1571년 결혼)
자녀샤 술탄
게브헤르한 술탄
이스미한 술탄
무라트 3세
파티마 술탄
그 외 다수
아버지쉴레이만 1세
어머니휘렘 술탄
왕가오스만 왕조
왕조오스만
관직
카라만 주지사재임 기간: 1542년 – 1544년
임기
마니사 주지사재임 기간: 1544년 – 1558년
임기
코니아 주지사재임 기간: 1558년 – 1562년
임기
퀴타히아 주지사재임 기간: 1562년 – 1566년
임기
기타
서명 유형투으라
서명

2. 생애

셀림 2세는 오스만 제국의 10번째 술탄쉴레이만 1세와 그의 총비인 휘렘 술탄 사이에서 1524년 5월 28일 콘스탄티노플에서 태어났다.[3]

셀림 2세는 재상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와 함께 이웃 제국들과 평화조약을 체결하고, 인도네시아 바다 정복에 나섰으며, 인도와 그 부근 국가들의 무슬림 통치자들을 후원했다.

2. 1. 유년기

셀림 2세는 1524년 5월 28일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에서 오스만 제국의 술탄 쉴레이만 1세와 그의 총애를 받는 후궁이었던 휘렘 술탄 사이에서 태어났다.[3] 그의 어머니 휘렘 술탄은 정교회 사제의 딸이었으나, 1533년 또는 1534년에 자유 신분이 되었고 쉴레이만 1세의 정식 부인이 되었다.[4][5]

셀림에게는 셰흐자데 메흐메드, 셰흐자데 바예지드, 셰흐자데 압둘라, 셰흐자데 지한기르 등의 형제와 미흐리마 술탄이라는 누이가 있었다. 1530년 6월에서 7월 사이, 셀림과 그의 형제들인 무스타파, 메흐메드의 할례를 기념하는 3주간의 축제가 콘스탄티노플에서 열렸다.[6]

1537년 5월, 셀림은 형 메흐메드와 함께 아버지의 코르푸 원정에 처음으로 참전하였다. 1540년에는 쉴레이만 1세와 함께 에디르네에서 겨울을 보냈고, 1541년 6월에는 부다 원정에 동행했다. 1542년, 카라만 주지사로 임명되어 코냐로 갔으며, 1544년 봄에는 형 메흐메드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사루한 지역 총독직을 맡게 되었다.[39]

1544년 여름, 셀림은 부모님, 누이 미흐리마, 그리고 매형 뤼스템 파샤와 함께 부르사에서 가족 모임을 가졌다. 1548~49년 사파비 왕조와의 군사 원정 기간 동안에는 에디르네에서 술탄을 대신하기도 했다. 1553년, 쉴레이만 1세를 따라 사파비 왕조 원정에 참여하였는데, 이 원정 중에 이복형 무스타파가 아버지의 명으로 처형되었다.

1555년에는 불가리아 북동부에서 셰흐자데 무스타파를 사칭하는 자의 반란이 일어났으나, 소쿠르루 메흐메드 파샤가 진압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셀림과 바예지드 간의 왕위 계승 경쟁이 심화되었다. 1558년 어머니 휘렘 술탄이 사망하자, 쉴레이만 1세는 셀림과 바예지드를 각각 코냐와 아마시아로 재배치하였다.

1559년, 바예지드는 왕위를 차지하기 위해 셀림을 공격하려 했으나, 쉴레이만 1세의 지원을 받은 셀림이 승리하였다. 바예지드는 사파비 왕조로 망명하였으나, 1561년 쉴레이만 1세의 요청으로 타흐마스프 1세에 의해 처형되었다. 이후 셀림은 1562년 초 퀴타히야의 총독으로 임명되어 왕자로서의 마지막 시기를 평화롭게 보냈다.

1545년에는 베네치아 귀족 가문 출신인 누르바누(체칠리아 베니에르-바포)를 아내로 맞이했다.[40] 1554년 페르시아 원정에서는 아나톨리아 출신 병사로 구성된 우익군 지휘관을 맡았다.[41]

2. 2. 후계자 경쟁

쉴레이만 1세의 후계자 자리를 둘러싼 암투는 1530년대부터 오스만 제국 궁정 내에서 벌어졌다. 쉴레이만 1세의 총애를 받던 록셀라나는 자신의 아들을 후계자로 세우기 위해 황자 무스타파를 상대로 책략을 꾸몄다.[42] 1553년 무스타파가 처형되자 셀림과 바예지트 형제가 쉴레이만의 후계자 후보로 남았다.[43] 셀림은 예니체리, 바예지트는 티마르 소유자와 농민들의 지지를 받았다.[44] 록셀라나는 게으르고 술고래인 셀림보다 유능한 바예지트를 후계자로 생각했던 것으로 보이나, 두 사람이 결렬되어 골육상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배려했다.[44] 1558년 록셀라나가 사망하자 셀림과 바예지트는 서로의 측근을 끌어들여 정쟁을 시작했다.

셀림의 가정교사였던 랄라 무스타파 파샤의 위조 서류를 이용한 책략으로 바예지트는 쉴레이만으로부터 미움을 받게 되었다.[43][45] 쉴레이만은 셀림의 임지를 코냐에서 퀴타히야로 바꾸고, 바예지트를 아마시야로 좌천시켰다.[45] 1559년 바예지트는 아마시야로의 이동을 거부하고 거병했으며, 튀르크멘과 티마르 소유자를 중심으로 한 20,000명의 군대가 바예지트에게 모였다.[46] 그러나 대재상소콜루 메흐메트 파샤가 이끄는 예니체리, 시파히, 포병대가 술레이만으로부터 셀림에게 파견되었고, 코냐 근교의 전투에서 수적으로 우위를 점한 셀림이 바예지트에게 승리했다.[46] 사파비 왕조로 망명한 바예지트와 그의 아들들이 쉴레이만과 셀림의 요청에 의해 처형되자, 아버지에게 반항하는 태도를 취하지 않은 셀림이 마지막 후계자로 살아남았다.[47]

2. 3. 즉위

셀림 2세의 즉위


셀림 2세는 아버지 쉴레이만 1세가 사망한 후인 1566년 9월 29일에 왕위에 올랐다.[16] 처음 이스탄불에서 즉위식이 거행되었으나, 대신들과 군대가 헝가리의 시게트바르에 있었기 때문에 인정받지 못했다. 이에 베오그라드에서 새로운 즉위식을 거행하라는 요청이 있었다. 셀림 2세는 즉위 3일 후인 10월 2일에 이스탄불을 떠났다.[16]

뛰어난 재상이었던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는 셀림 2세가 베오그라드의 군대에 도착할 때까지 쉴레이만 1세의 죽음을 비밀로 유지하여 즉위 및 왕위 계승 절차를 보호했다. 베오그라드에서는 황제의 천막 앞에 두 개의 투그(말총 깃발) 사이에 왕좌를 놓고 충성 서약 의식이 거행되었다.

새로운 술탄은 왕위 즉위 보너스를 제공하지 않았고, 상비군은 사례금과 진급을 요구했지만 셀림 2세는 이를 묵살했다. 그 결과, 군대는 이스탄불에 입성하면서 적절한 즉위식이 없었다는 점을 들어 반란을 일으켰다.[17]

3. 통치와 업적

셀림 2세는 콘스탄티노플의 아야 소피아를 보수했으며, 아버지 쉴레이만 1세의 웅장한 사원은 오스만 시대 최고의 건축가 시난에 의해 건축되었다. 셀림 2세는 에디르네를 선호하여 셀리미예 모스크를 건설했는데, 이 모스크는 미마르 시난의 감독하에 1569년부터 1575년 사이에 지어졌다. 또한 1572년부터 1574년까지 시난의 지시로 아야 소피아 모스크의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진행했다.

셀림 2세는 아버지처럼 많은 글을 남겨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기 이전에 시인으로도 불렸다. 특히, 총비 눌바누 술탄을 위해 쓴 시들은 터키 고전문학(Divan)의 훌륭한 예로 평가받고 있다.

쉴레이만 1세다마스쿠스에 바라다 강을 따라 타키야 알-술라이마니야 사원 건설을 의뢰했고, 1554년 미마르 시난이 설계한 이 사원은 수피교 호스텔을 인정하여 타키야라고 불렸다. 셀림 2세는 1566년부터 1567년까지 마드라사 살리미야를 추가하여 아버지의 사원을 확장했다. 이 단지는 메카로 가는 연례 순례의 출발점이 되었다.

1568년 2월 17일 이스탄불에서 신성 로마 황제막시밀리안 2세와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몰다비아왈라키아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받았다.[53] 1570년 슈파이어 조약을 통해 존 지그문트 자폴야는 헝가리 왕 칭호를 포기하고 트란실바니아 공작 칭호를 채택했다. 트란실바니아 공국은 오스만 제국의 봉신으로 남았지만, 술탄과 헝가리 합스부르크 왕 모두에게 주권을 제약받는 이중적인 종속 상태였다.[19]

1569년 셀림 2세는 프랑스 왕국 왕 샤를 9세에게 카피추레이션을 수여하여 프랑스 신민에게 부과되는 관세를 5%로 제한하고, 프랑스 대사·영사에게 보호를 제공했다.[56]

1566년에는 제노바 공화국의 키오스 섬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54]

북쪽의 러시아와의 관계는 원만하지 못했다. 1569년 돈 강과 볼가 강을 연결하는 운하 건설을 계획하고 아스트라한 포위와 운하 공사를 시작했으나, 러시아군의 공격과 폭풍으로 실패했다.[32] 1570년 러시아 황제 이반 4세가 파견한 대사가 이스탄불에 도착하여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사이에 강화가 체결되었다.

3. 1.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의 역할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셀림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대재상 소콜루 메흐메드 파샤는 쉴레이만 1세의 통치 말기부터 계속해서 국정의 대부분을 담당하며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35] 그는 제국 전역의 요직에 자신의 가족과 측근들을 배치하여 강력한 후원자 네트워크를 구축했다.[18] 당시 기록에 따르면, 셀림 2세의 재위 기간 동안 소콜루 메흐메드 파샤가 사실상 주권을 행사하며 제국을 효과적으로 관리했다고 한다. 셀림 2세가 정치에 제한적으로 관여한 것은 소콜루 메흐메드 파샤의 지배적인 역할과 더불어 제국의 정치적 지형 변화 때문이었다. 궁정 및 측근 체제의 등장과 술탄의 정착은 셀림 2세의 통치를 특징짓는 요소가 되었으며, 이후 그의 후계자들 사이의 권력 투쟁을 규정하는 측면이 되었다.[18]

3. 2. 군사적 활동

1569년, 셀림 2세는 아스트라한 정복에 실패했다. 돈 강과 볼가 강을 연결하는 운하 건설은 그의 통치 기간 중 가장 야심 찬 시도 중 하나였으나 미완성으로 남았다. 대재상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가 주도한 이 광범위한 사업은 약 약 64.37km에 걸쳐 험난한 지형을 굴착하는 것을 포함했다. 이 운하는 완성되었다면 오스만 제국이 북부 국경에서 전략적으로 이점을 얻어, 모스크바 공국의 진출을 통제하고 사파비 페르시아에 대한 잠재적인 공격 기지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목적이었다. 그러나 악천후와 해당 지역에 파견된 군인들의 혼란으로 인해 운하 건설은 완료되지 못했다.

로레이스 아 카스트로의 ''레판토 해전''


셀림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지중해에서 해상 원정이 벌어졌다. 1571년, 오스만 제국은 베네치아로부터 키프로스를 점령하여, 아나톨리아 본토의 인접 지역과 함께 새로운 주로 만들었다.[20] 처음에는 섬의 혹독한 기후로 인해 이주를 꺼렸지만, 국가의 압력으로 상당수의 터키 정착민들이 결국 자리를 잡았다. 같은 해, 교황령, 베네치아, 스페인 함대로 구성된 신성 동맹은 중요한 기독교 거점이었던 키프로스 점령에 대한 보복으로 레판토 해전에서 격돌했다. 오스만 해군은 치명적인 패배를 겪었고, 1년간의 재건 노력이 이어졌지만, 숙련된 해군 인력의 손실은 셀림의 통치 기간 동안 국가에 계속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좌절에도 불구하고, 셀림이 사망하기 직전인 1574년, 튀니스 요새를 스페인으로부터 탈환한 것은 주목할 만한 해상에서의 성공이었다.

셀림 2세 치세에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오스만 선박 습격 거점이 되었던 키프로스 섬 원정이 계획되었다.[59] 키프로스는 아나톨리아, 시리아, 이집트를 잇는 해로 유지에 필수적인 요충지였으며, 베네치아는 키프로스를 유지하기 위해 매년 10,000두카트를 오스만 제국에 지불했다.[59] 이전부터 오스만 제국은 키프로스 획득을 원했고,[53] 1570년 봄에 셀림은 소콜루의 간언을 물리치고 키프로스 원정을 결정했다.[60] 같은 해 7월에 오스만 함대는 키프로스 섬을 포위했고,[53] 1571년에 라라 무스타파 파샤 지휘하의 군대가 키프로스를 제압했다. 키프로스가 포도주 산지였기 때문에, 키프로스 원정 당시 이스탄불 시민들은 "셀림은 포도주 때문에 키프로스 원정을 시작했을 것이다"라고 소문을 퍼뜨렸다.[61]

키프로스 섬 함락은 기독교 세계에 충격을 주었고, 로마 교황 비오 5세의 제창으로 가톨릭 국가 연합군이 결성되었다.[53] 1571년 10월 7일, 오스만 함대는 레판토 해전에서 가톨릭 국가 연합군에게 패배했다.

전후, 소콜루는 베네치아와의 전쟁에 대비하여 다음 해 봄까지 함대를 재건할 것을 명했다.[59][62] 자금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내는 대제독 울루치 알리 파샤에게, 레판토 해전이 오스만 제국에 준 타격을 알아보려는 베네치아 사절단에게 소콜루는 여유로운 모습을 보이며 자금은 풍족하고 오스만의 피해는 미미하다고 답했다.[59] 1572년 6월에 재건된 오스만 해군은 250척으로 이루어진 함대를 지중해에 출격시켰고,[62][63] 베네치아는 오스만과의 전쟁 지속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지 않았다.[64] 1573년 3월에 프랑스 왕국의 중재로 오스만과 베네치아는 강화 조약을 맺어, 오스만의 키프로스 섬 보유, 베네치아의 오스만에 대한 배상금 지불, 달마티아 지방의 정세를 유지하는 것이 결정되었으며, 베네치아에 카피추레이션이 수여되었다.[64]

1574년에 울루치 알리 파샤와 예멘 정복자 코자 시난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함대가 스페인의 지배 하에 있던 튀니지에 파견되어, 8월에 튀니지를 탈환했다.

3. 3. 외교 관계

1568년2월 17일 이스탄불에서 신성 로마 황제막시밀리안 2세와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는데, 막시밀리안 2세는 매년 30,000 두카트의 "공납"을 지불하고, 몰다비아왈라키아에서의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했다. 평화 기간은 8년이었지만, 오스만 제국과 신성 로마 제국의 우호 관계는 16세기 말까지 유지되었다.[53] 합스부르크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2세는 헝가리에서의 오스만 제국의 정복을 인정하고 술탄에게 연간 조공을 계속 지불했다.

1570년 슈파이어 조약을 통해 존 지그문트 자폴야는 헝가리 선출 왕으로서의 칭호를 포기하고 트란실바니아 공작 및 헝가리 인접 지역의 칭호를 채택했다. 막시밀리안은 이러한 변화를 인정했고, 존 지그문트는 자신의 공국에 대한 막시밀리안의 종주권을 받아들였으며, 공국은 헝가리의 성관의 일부로 남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란실바니아 공작은 오스만 제국의 봉신으로 남았다. 본질적으로 트란실바니아 공국은 이중적인 종속 상태로 존재했으며, 그 주권은 술탄과 헝가리의 합스부르크 왕 모두에 의해 제약받았다.[19]

1569년에 셀림은 프랑스 왕국 왕 샤를 9세에게 카피추레이션을 수여했다. 카피추레이션에 의해 프랑스 신민에게 부과되는 관세는 5%로 제한되었으며, 오스만 영토 내에 주재하는 프랑스 대사·영사에게 보호가 주어졌다.[56]

1566년에는 제노바 공화국이 영유하는 키오스 섬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54]

그러나 북쪽의 러시아와의 관계는 순조롭지 못했다. 오스만 궁정에서 볼가강돈강을 연결하는 운하 건설이 계획되었고,[58] 1569년 여름에 예니체리와 기병대로 구성된 대부대에 의해 아스트라한 포위가 시작되었다. 포위와 동시에 운하 공사가 시작되었고, 돈강 하구에 위치한 아조프에 오스만 함대가 집결했다. 그러나 아스트라한 포위는 수비대의 반격으로 실패했다. 운하의 인부들은 15,000명으로 구성된 러시아군의 구원대의 공격을 받아 흩어졌고, 인부를 보호하기 위해 크림의 군대가 파견되었다. 게다가 아조프에 집결한 함대는 폭풍으로 괴멸되었다.[32] 1570년 초에 러시아 황제 이반 4세가 파견한 대사가 이스탄불에 도착하여,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사이에 강화가 체결되었다.

3. 4. 문화적 업적

셀림 2세 시대에 콘스탄티노플에 있는 아야 소피아를 보수했다. 아버지 술탄 쉴레이만 1세의 웅장한 사원은 오스만 시대의 가장 뛰어나고 유명한 건축가 시난이 그의 치세에 건축했다.

셀림 2세는 아버지처럼 많은 글을 남겨 오스만 제국의 지배자이기 이전에 시인이라는 이름도 얻었다. 특히, 총비 눌바누 술탄을 위해 쓴 시들은 후대까지 전해져 터키 고전문학(Divan)의 훌륭한 예로 평가받고 있다.

람베르트 드 보스가 1574년에 그린 ''술탄 셀림 2세의 기마상''


쉴레이만 1세다마스쿠스에 바라다 강을 따라 도시 외곽에 타키야 알-술라이마니야 사원 건설을 의뢰하여 지속적인 유산을 남겼다. 1554년 미마르 시난이 설계한 이 사원은 안뜰 방에 있는 수피교 호스텔(테케 또는 자위야)을 인정하여 타키야라고 불렸다. 셀림 2세는 1566년부터 1567년까지 마드라사 살리미야를 추가하여 아버지의 사원을 확장했다. 이 단지는 메카로 가는 연례 순례의 출발점이 되었다.

셀림 2세는 이스탄불보다 에디르네를 선호하며, 특히 이 도시를 방문하고 사냥하는 것을 즐겨 전 오스만 제국의 수도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그는 셀리미예 모스크라고 알려진 사원을 건설했는데, 이 사원은 모든 오스만 사원 중 가장 큰 규모로 미마르 시난의 감독하에 1569년부터 1575년 사이에 세워졌다. 그는 또한 시난의 지시에 따라 1572년부터 1574년까지 아야 소피아 모스크의 상당한 개조 공사를 수행했다. 이 복원 작업에는 부벽 수리, 나무 미나렛을 벽돌 미나렛으로 교체, 두 개의 새로운 미나렛 도입이 포함되었다. 또한 인접한 구조물을 철거하여 제국 사원의 특징적인 안뜰을 만들었다.

4. 말년과 죽음

셀림 2세는 1574년 12월 12일[65][66] (또는 12월 15일[22])에 5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셀림은 만년에 포도주 한 병을 다 마시고 톱카프 궁전에 새로 지어진 목욕탕으로 가다 젖은 타일에 미끄러져 머리를 부딪혔다.[65] 이 사고 발생 11일 후 셀림은 사망했으며, 이로 인해 소콜루가 계획했던 베네치아 공격 계획은 중단되었다.[32] 셀림 2세는 아야 소피아 사원 내 묘지에 안장되었다.[23] 그의 사후 아들 무라트 3세가 뒤를 이었다.

5. 평가

셀림 2세는 시인들을 후원하고 문학에 깊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그는 '셀리미'라는 필명으로 시를 쓰기도 했다.[24] 퀴타히야 총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투라크 첼레비 등 저명한 시인들과 교류했으며, 그의 측근이었던 니가리는 술탄의 측근이자 연예인, 초상화가 역할을 했다.[15]

사료에 따르면 셀림 2세는 관대하고 쾌락과 유흥, 술자리를 즐겼으며, 학자, 시인, 음악가들을 곁에 두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아버지 쉴레이만 1세와 달리 금요 예배나 대중 앞에 나서는 것을 소홀히 하고 궁궐에서 시간을 보냈다고 전해진다.[3]

후세의 서양 역사가들은 레판토 해전에 큰 관심을 보이며, 이 전투가 오스만 제국 쇠퇴의 시작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67] 스코틀랜드의 이슬람사 연구자 킨로스 경은 저서 "The Seeds of Decline"에서 레판토 해전 패배 후 함대 재건에 들어간 막대한 지출이 오스만 제국의 완만한 쇠퇴를 불러왔다고 보았다. 그러나 레판토 해전 패배가 오스만 해군의 인적 자원에 타격을 주었지만, 이것이 제국 쇠퇴의 원인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는 연구자도 있다.[68]

6. 가족 관계

셀림 2세는 하세키와 법적인 아내, 그리고 최소 7명의 첩을 두었다.


  • 누르바누 술탄: 셀림 2세가 가장 총애한 첩이자 하세키 술탄이자 법적인 아내였으며, 아들인 술탄 무라트 3세의 어머니였다. 셀림 2세는 1571년에 그녀와 법적으로 결혼했다.[25]

  • 다른 7명의 첩들은 각각 다른 왕자들의 어머니였다.[25] 이 첩들 중 한 명은 1574년 12월 셀림 2세가 사망한 직후 사망했는데, 아마도 그녀의 아들이 처형된 것에 대한 자살이었을 것이다.[25] 다른 첩은 1572년 출산 중 아들과 함께 사망했고, 또 다른 첩은 1577년 4월 19일에 사망했다.[26]


셀림 2세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

성별이름출생 - 사망비고
남자무라트 3세1546년 7월 4일 - 1595년 1월 15일아야 소피아 모스크의 영묘에 안장[27]
셰흐자데 메흐메트1571년 - 1572년 9월휌 술탄 영묘에 안장[27]
셰흐자데 쉴레이만1571년 - 1574년 12월 22일무라트 3세에 의해 처형, 아버지와 함께 아야 소피아에 안장, 그의 어머니는 그가 죽은 직후에 사망[27]
셰흐자데 압둘라1571년 - 1574년 12월 22일무라트 3세에 의해 처형, 아버지와 함께 아야 소피아에 안장[27]
셰흐자데 알리1572년 - 1572년어머니와 함께 사망, 아버지와 함께 아야 소피아에 안장[27]
셰흐자데 오스만1573년 - 1574년 12월 22일무라트 3세에 의해 처형, 아버지와 함께 아야 소피아에 안장[27]
셰흐자데 무스타파1573년 - 1574년 12월 22일무라트 3세에 의해 처형, 아버지와 함께 아야 소피아에 안장[27]
셰흐자데 지항기르1574년 - 1574년 12월 22일무라트 3세에 의해 처형, 아버지와 함께 아야 소피아에 안장[27]
여자사흐 술탄1543년경[3] – 1580년 11월 3일누르바누 술탄 소생. 1562년 차키르바쉬 하산 파샤와 결혼, 1574년 잘 마흐무드 파샤와 재혼[29]
게브헤르한 술탄1544년[3][28] - 1624년경누르바누 술탄 소생. 1562년 피얄레 파샤와 결혼, 1579년 체라흐 메흐메드 파샤와 재혼[29]
이스미한 술탄1545년[3][28] – 1585년 8월 8일누르바누 술탄 소생. 1562년 소콜루 메흐메드 파샤와 결혼, 1584년 칼라일리코즈 알리 파샤와 재혼[29]
파트마 술탄1558년경 – 1580년 10월누르바누 술탄 소생(논쟁의 여지 있음). 1573년 카니젤리 시야부쉬 파샤와 결혼[29]


참조

[1] 서적 Ottoman Silver Marks 1996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Ottoman Empire https://archive.org/[...] Scarecrow Press 2003
[3] 간행물 Selim II https://islamansiklo[...] TDV Encyclopedia of Islam
[4] 서적 The Ottoman centuries: The Rise and Fall of the Turkish Empire Morrow 1979
[5] 학술 The Speech of Ibrahim at the Coronation of Maximilian II 2002
[6] 서적 The Shade of Swords: Jihad and the Conflict between Islam and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2-05-03
[7] 서적 The Life and Letters of Ogier Ghiselin de Busbecq C.K. Paul
[8] 서적 Suleiman the Magnificent https://books.google[...] Saqi 2012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Volume 2, The Ottoman Empire as a World Power, 1453–1603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0] 서적 Suleiman the Magnificent https://books.google[...] Saqi 2012
[11] 서적 Islamic Desk Reference https://archive.org/[...] BRILL 1994
[12] 서적 Suleiman the Magnificent - Sultan of the East Read Books Ltd 2013
[13] 서적 Suleiman the Magnificent https://books.google[...] Saqi 2012
[14] 서적 Osmanlı Tarihi Milliyet yayınları
[15] 서적 Picturing History at the Ottoman Court Indiana University Press
[16] 서적 Muqarnas, Volume 27 Brill
[17] 서적 The Ottoman Turks: An Introductory History to 1923 http://archive.org/d[...] London; New York : Longman 1997
[18] 서적 The Ottoman Turks: An Introductory History to 1923 http://archive.org/d[...] London; New York : Longman 1997
[19] 서적 The Last Muslim Conquest: The Ottoman Empire and Its Wars in Europ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Ottoman Empire :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www.worldcat[...] ABC-CLIO
[21] 서적 The Ottomans: A Cultural Legacy Thames & Hudson
[22] 서적 The Second Ottoman Empire: Political and Social Transformation in the Early Modern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서적 The Turks Yeni Türkiye
[24] 서적 Osmanlı İmparatorluğu Tarihi / ÖSYM'nin Tüm Sınavları İçin Uygundur.(KPSS, TYT, AYT) Aybars Bozkuyu
[25] 서적 Türkiye günlüğü: cilt. 1573-1576 Kitap Yayınevi
[26] 서적 Türkiye günlüğü: cilt. 1577-1578 Kitap Yayınevi
[27] 학술 A Comparison of Seyyid Lokman's Records of the Birth, Death and Wedding Dates of Members of Ottoman Dynasty (1566-1595) with the Records in Ottoman Chronicles Marmara University 2023-06-06
[28] 학위논문 Power to kill: a discourse of the royal hunt during the reigns of Süleyman the magnificent and Ahmed I https://research.sab[...] 2011-08-02
[29] 학위논문 Searching For Osman: A Reassessment Of The Deposition Of Ottoman Sultan Osman II (1618-1622) unpublished Ph.D. thesis
[30] 웹사이트 Hürrem Sultan (TV Series 2003) https://m.imdb.com/t[...] 2024-02-24
[31] 뉴스 Muhteşem Yüzyıl'ın 'Şehzade Selim'i Diriliş Ertuğrul'da https://www.ntv.com.[...] 2024-02-14
[32] 기타 Selim Encyclopadia Britannica
[33]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栄光
[34] 서적 改訳 トルコ史
[35] 서적 オスマン帝国500年の平和
[36] 서적 スレイマン大帝とその時代
[37] 간행물 "İstanbul'un adları" Türkiye Kültür Bakanlığı, Istanbul 1993/94
[38] 문서 Istanbul Encyclopedia of Islam
[39] 서적 オスマン帝国500年の平和
[40] 서적 The Muslim discovery of Europe W.W. Norton & Company, Inc. 2001
[41] 서적 スレイマン大帝とその時代
[42] 서적 オスマン帝国 イスラム世界の「柔らかい専制」
[43] 서적 オスマン帝国 イスラム世界の「柔らかい専制」
[44] 서적 スレイマン大帝とその時代
[45] 서적 スレイマン大帝とその時代
[46] 서적 スレイマン大帝とその時代
[47] 서적 オスマン帝国500年の平和
[48] 서적 スレイマン大帝とその時代
[49] 서적 オスマン帝国500年の平和
[50] 서적 スレイマン大帝とその時代
[51] 서적 スレイマン大帝とその時代
[52] 서적 オスマン帝国500年の平和
[53] 서적 改訳 トルコ史
[54] 서적 オスマン帝国500年の平和
[55] 서적 トルコ 2
[56]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栄光
[57] 서적 成熟のイスラーム社会
[58] 서적 オスマン帝国500年の平和
[59] 서적 トルコ 2
[60]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栄光
[61] 서적 キプロス島歴史散歩 新潮社 2005-05
[62] 서적 オスマン帝国 イスラム世界の「柔らかい専制」
[63] 서적 トルコ 2
[64] 서적 改訳 トルコ史
[65] 서적 スレイマン大帝とその時代
[66] 서적 Ottoman Centuries: The Rise and Fall of the Turkish Empire 1977
[67] 서적 オスマン帝国 イスラム世界の「柔らかい専制」
[68] 서적 オスマン帝国 イスラム世界の「柔らかい専制」
[69] 서적 成熟のイスラーム社会
[70] 서적 スレイマン大帝とその時代
[71]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栄光
[72] 서적 スレイマン大帝とその時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